반응형
내부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예산을 수립 통제하는데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했듯이 4개의 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각 프로세스 단계별로 어떤 업무를 진행하는지에 대한 사항을 살펴 보겠다.
✅ 1. 예산 수립 (Planning & Budgeting)
목표: 프로젝트 개발을 위한 초기 예산 수립 및 인력/일정 계획 수립
- 요구사항 정의
- 일정 및 인원 관리 기능 명세
- 기술 스택 결정 (예: SvelteKit, MySQL, Prisma 등)
- 예산 항목 정의
- 인건비(개발자, 디자이너 등)
- 소프트웨어/하드웨어 비용
- 테스트 및 배포 비용
- 예비비(리스크 대응)
- 인력 계획 수립
- 각 역할별 투입 시기 및 투입 기간 결정
- 근무 형태(풀타임/파트타임, 외주 등)
- 일정 계획 수립
- 마일스톤 설정 (기획, 개발, 테스트, 배포 등)
- 간트 차트로 시각화
✅ 2. 예산 실행 및 모니터링 (Execution & Monitoring)
목표: 예산 대비 실적을 관리하며, 프로젝트 진척 상황과 비용을 지속적으로 추적
- 투입 인력 관리
- 실제 투입 시간 기록
- 인건비 자동 계산
- 일정 추적
- 마일스톤별 진행률 확인
- 지연 리스크 조기 감지
- 비용 집계
- 실시간 지출 내역 기록 (항목별, 인력별)
- 예산 대비 차이 분석
- 대시보드 기능
- 예산 사용 현황 그래프
- 프로젝트 진척률 시각화
✅ 3. 비용 절감 및 최적화 (Optimization)
목표: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효율적인 리소스 운용을 통해 비용 절감
- 비용 분석
- 예산 대비 초과 비용 항목 식별
- 비효율적 인력 배치/시간 낭비 탐지
- 인력 재배치/일정 조정
- 여유 인력 재배치
- 병목 구간 일정 조정
- 자동화 도입 검토
- 반복 작업 자동화
- 개발 효율화 도구 적용
✅ 4. 프로젝트 종료 (Closing)
목표: 프로젝트 마무리 및 최종 정산, 성과 분석
- 최종 예산 정산
- 총 지출/예산 대비 분석 보고서 작성
- 항목별 정산서 작성
- 성과 평가
- 일정 준수율, 예산 사용률 분석
- 인력별 성과 기록 및 피드백
- 프로젝트 리포트
- 전체 개발 과정 및 비용 요약
- 차기 프로젝트에 활용 가능한 템플릿으로 저장
마무리
1. 예산 수립 프로세스는 프로젝트 기획과 게획을 세우는 단계에서 필요로 하는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이다.
2. 예산 실행 및 모니터링 프로세스는 예산을 집행하고, 적절하게 수행하고 있는지 모니터링하는 단계이다.
3. 비용절감 및 최적화 프로세스는 예산실행 및 모니터링 프로세스와 연동되어 적절한 예산을 사용하도록 통제하는 단계이다.
4. 프로젝트 종료 프로세스는 프로젝트 완료 후 이에 대한 평가와 더불어 유사한 프로젝트의 차후 진행에 사용하도록 자료를 구축하는 단계이다.
728x90
반응형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