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프로젝트
내부 프로젝트라 함은 기업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예를 들어 ERP나 영업관리, 물류관리 시스템과 같이 업무에 활용되는 시스템을 도입하거나, 기능 고도화를 진행하는 경우와, 기업에서 판매하는 솔루션을 버젼업 또는 신규 제품을 만드는 활동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활동을 구분하면 크게 업무 시스템의 구축과 상품화의 방식 두가지로 크게 나누어지게 되며, 업무시스템 구축의 경우는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는 목표설정 => 개획 => 개발 => 개발 => 테스트 => 배포 및 유지보수의 단계로 진행할 수 있으며, 상품화의 경우 비지니스 모델을 구체화하여 상품화 하는 과정이 별도로 추가되게 된다.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프로젝트를 진행할때 일반적인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는 목표설정 => 개획 => 개발 => 개발 => 테스트 => 배포 및 유지보수의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는 비지니모델화 하여
1. 프로젝트 기획 및 목표 설정
- 문제 정의: 해결하려는 문제 또는 개선하려는 사항을 명확히 정의
- 목표 설정: 프로젝트 완료 후 기대되는 결과를 구체화
- 주요 기능 정의: 핵심 기능과 필요한 기술 스택 정리
- 리소스 및 역할 분배: 담당자 및 필요한 자원(서버, DB, 인력 등) 계획
2. 요구사항 분석 및 설계
- 요구사항 수집: 관련 부서(운영, 개발, 기획)와 협업하여 필요 기능 및 데이터 정리
- 기술 스택 선정: 기존 인프라와의 호환성을 고려한 기술 결정
- 아키텍처 설계: 프레임워크, 데이터베이스, 서버 구조, API 설계 진행
- UI/UX 설계 (필요 시):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화면 구성
3. 개발 및 구현
- 환경 구축: 개발 환경(로컬, 테스트, 운영) 설정
- 데이터베이스 구축: 자동화 포팅을 고려한 DB Schema 설계
- 기능 개발: 모듈 단위로 기능을 개발하고 버전 관리 (Git 사용 권장)
- 코드 리뷰 및 테스트: 동료 간 코드 리뷰를 통해 품질 관리
4. 테스트 및 품질 관리
- 유닛 테스트: 개별 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검증
- 통합 테스트: 시스템 전체적인 동작 확인
- 성능 테스트: 트래픽 부하, DB 처리 속도 점검
- 버그 수정 및 최적화: 테스트 과정에서 발견된 오류 수정
5. 배포 및 운영
- 배포 계획 수립: 롤백 가능성을 고려한 배포 방식 선정 (Blue-Green, Canary 배포 등)
- 배포 자동화: CI/CD를 활용한 자동화 고려 (Jenkins, GitHub Actions)
- 모니터링: 운영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Log, Error Tracking, DB 성능)
- 유지보수 및 개선: 사용자의 피드백을 받아 지속적으로 개선
예산관리 관점에서의 프로세스
프로젝트 예산관리를 위한 프로세스는 비용계획 => 예산추적 => 지출최적화 => 사후분석의 단계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를 구체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프로젝트 예산 수립 (Planning)
✅ 프로젝트 범위 정의
- 프로젝트 목표와 핵심 기능을 정리
- 예상되는 비용 항목 파악 (인건비, 개발 비용, 인프라 비용 등)
✅ 예산 항목 설정
- 고정비: 인건비,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서버 비용
- 변동비: 외주 개발, 추가 클라우드 사용량, 마케팅 비용
✅ 비용 예상 모델 구축
- 비슷한 과거 프로젝트 데이터를 참고해 예상 비용 산출
- 버퍼(예비 예산) 설정 (예상 예산의 10~20% 추가)
2. 예산 실행 및 모니터링 (Execution & Monitoring)
✅ 예산 사용 현황 실시간 추적
- MySQL 기반의 예산 관리 대시보드 활용
- 월별/주별 예산 소진율 확인
✅ 예산 초과 감지 및 대응
- 특정 항목에서 지출이 많아질 경우 조기 경고 시스템 도입
- 지출이 예상보다 높으면 우선순위 조정 및 조정 회의 진행
3. 비용 절감 및 최적화 (Optimization)
✅ 비용 최적화 전략 적용
- 클라우드 서버 비용 최적화 (예: 사용량 기반 과금 모델 활용)
- 개발 리소스 조정 (외주 vs 내부 개발 여부 판단)
✅ ROI 분석 및 불필요한 지출 제거
- 각 기능이 비즈니스 목표에 맞는지 검토
- 불필요한 기능은 삭제하고 필수 기능에 집중
4. 프로젝트 종료 후 분석 (Post-Project Analysis)
✅ 예산 대비 실제 지출 분석
- 초기 예산과 실제 비용 비교 후 차이 분석
-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개선점 도출
✅ 다음 프로젝트를 위한 데이터 구축
- 예산 관리 템플릿 업데이트
- 향후 프로젝트 예산 책정 시 활용
마무리
1. 프로젝트 관리는 목표설정 =>기획=>개발=>테스트=> 배포 및 유지보수 의 순으로 진행된다.
2. 예산 관리는 비용 계획 => 예산추적 => 지출최적화 => 사후분석의 프로세스를 반복적으로 진행한다.
3. 관리 프로세스와 연동하면 예산 수립 => 예산실행 및 모니터링 => 비용절감 및 최적화 => 프로젝트 종료후 분석 의 순으로 진행한다.
4. 예산관리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고려한다.
-. 월별/주별 예산점검 미팅 진행
-. 자동화된 비용리포트 생성 시스템 활용 => 예산관리 시스템 활용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