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젝트관리/EPMO와 CMMI 실무적용

EPMO(Enterprise PMO, 전사 PMO) 와 CMMI의 실무 적용 - 3

by 막대바람 2022. 9. 7.
반응형

EPMO(Enterprise PMO, 전사 PMO) 와 CMMI의 실무 적용 - 1 : EPMO 정의와 실패하는 이유

EPMO(Enterprise PMO, 전사 PMO) 와 CMMI의 실무 적용 - 2 : 조직의 문제점과 개선기회의 도출

EPMO(Enterprise PMO, 전사 PMO) 와 CMMI의 실무 적용 - 3 : CMMI 와 PI 활동의 접목

EPMO(Enterprise PMO, 전사 PMO) 와 CMMI의 실무 적용 - 4 : 전사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의 소개

EPMO(Enterprise PMO, 전사 PMO) 와 CMMI의 실무 적용 - 5 :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영역

EPMO(Enterprise PMO, 전사 PMO) 와 CMMI의 실무 적용 - 6 : 조직과 CMMI 관리 프로세스와 접목

EPMO(Enterprise PMO, 전사 PMO) 와 CMMI의 실무 적용 - 7 : 역할과 책임의 관리프로세스 전환

CMMI의 정의

CMMI는 소프트웨어 개발 및 전산장비 운영 업체들의 업무 능력 및 조직의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품질 보증 모델로 약 20여개의 프로세스로 정의하고, 20여개의 프로세스를 용도별로 프로세스영역, 프로젝트관리영역, 기술영역, 지원영역으로 구분하여 Level1~5 까지 단계를 나누어 조직의 품질 보증 모델을 평가하는 프로세스 프레임워크이다. 

 

CMMI가 구분하고 있는 4가지 ProcessArea중, Process Management 는 조직에서 사용하는 프로세스를 정의/개선하고, 조직을 훈련하는 프로세스를 모아놓은 영역이며,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관리하는데 필요한 프로세스를 모아 놓은 영역을 Project Management, 개발 또는 운영하는 Engineering,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도구 예를 들어 형상관리등 부수적인 부분에 대한  프로세스를 모아놓은 Support으로 구분하여 제공하고 있다.

 

 

 

정의된 4가지의 Process Area 에서  프로세스가 조직에 얼마나 활용되고 있는가를 평가하여 성숙도 모델로 제공하고 있다,  Level 1~5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CMMI에서는 조직의 공정 및 관리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20여개의 프로세스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적절하게 회사에 적용한다면 조직에서 원하는 EPMO를 도입 목표를 충분히 이룰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CMMI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CMMI 전문가가 필요한 것이 아닌가라는 의문이 들것이나, 우리가 목적으로 하는 것은 CMMI 자격인증이나, 품질관리에 대한 전문기관으로 인정을 받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PI활동으로 구체화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전략으로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우리가 필요한 프로세스에 대한 부분을 CMMI에서 제공하는 프로세스에서 찾아서 조직에 맞도록 수정 활용하도록 하는게 목적이기 때문에 프로젝트 관리나 개발관련 지식이 있으면 접근하는데 그리 어렵지는 않을 것이다.

 

CMMI에 대해서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시기 바란다.

 

능력 성숙도 통합 모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대부분 또는 전부 하나의 출처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추가적인 출처를 제시하여 문서

ko.wikipedia.org

CMMI 성숙도는 총 1~5 단계의 레벨로 정의해 놓았다.

Level 1 :  개인의 역량에 의거하여 프로젝트의 성공과 실패가 결정되는 단계로,  개발 또는 운영하는 프로세스가 거의 없이 발생되는 상황에 맞춰 진행되는 단계.  

   * 표준화된 프로세스 없이 프로젝트 수행결과의 예측이 곤란한 조직.

   * 적용 프로세스 없음.

Level 2 : 프로세스 하에서 프로젝트를 통제하는 수준의 프로세스를 보유하고 활용하고 있으나, 그 형태가 일정이나 비용등관리프로세스 중심으로 되어 있는 단계로, 기존의 유사한 프로젝트의 사례를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사용하는 단계

   * 기본 프로세스가 구축되어 있으며, 프로세스에 의해서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조직

   * 기본 프로세스

     요구사항 관리/프로젝트계획/프로젝트 감시 및 제어/ 공급자 계약관리/측정과 분석/프로세스와 품질보증/형상관리

Level 3 : Level2에 조직을 위한 프로세스를 추가한 표준이 존재하며, 모든 프로젝트는 조직의 프로세스를 상황에 의거하여 조정하여 승인받아 수행하게 된다.

   * 세부 표준 프로세스가 있어 프로젝트가 수행되는 조직

   * 조직프로세스/조직프로세스정의/조직프로세스훈련/ 통합조직 환경

Level4 :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와 품질 프로세스를 정량적인 측정이 가능한 단계

Level5 : Level4를 유지하며, 이에 개선사항을 지속적으로  발굴 조직을 최적화하는 단계

 

CMMI 성숙도 레벨이 Level1 의 상태라고 한다면 회사의 표준화된 업무 프로세스가 존재하지 않거나, 있더라도 표준을 제정하고 제대로 준수하지 않을 경우 Level1이라고 볼수 있다. 

Level2는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사용을 규정하고 있으나, 제대로 수행되지 않을 경우를 의미한다고 보면된다. 특히 Level2의 경우 비용의 통제나 일정의 통제에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으나, 보통 Level3까지 확장하기에는 CMMI를 관리하는 적정 조직과 구성원들의 투입되는 노력이 상당하기에 Level2 만 만족하더라도 충분한 성과로 볼 수 있다.

 

 

PI 활동과 CMMI의 적용 범위의 결정

사례에서 PI  활동을 통하여 조직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개선과제를 구체화하는 과정을 통하여 어떤 부분이 부족한지 충분히 알고 있는 상태이다. 

PI 활동을 통하여 문제점을 도출할때 반드시 CMMI의 영역을 나누어서 도출할 필요는 없다. 조직의 문제점과 개선기회를 구체화하여 도출만 하면 된다. 

 

사레로 든 회사의 경우에는 PI 활동으로 도출된 여러 개선기회를 도출하였고,  이를 정리하여 보면 단일 프로젝트에서 수행해야 될 과제도 있고, 전체 조직에 대해서 장기간 수행해야 되는 과제도 존재하는등 다양한 형태의 개선 기회가 발생되었다. 이에 필자는 EPMO를 도입의 목표인 "중/대형 프로젝트 관리방안"의 개선에 우선순위를 두고 도출된 여러 문제점중  두가지 문제와 하나의 개선기회에 집중하여 업무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PI 활동과 EPMO의 적용 대상

 

우선 도출된 두가지 문제점은 

1. 프로젝트 위험 식별 및 대처 방안

    ==> 프로젝트 위험 식별과 대처에 대한 권한과 책임이 프로젝트수행팀 단위로 부여되는 경우, 수행팀의 역량과 PM의 성향에 따라 위험 식별이 안되거나, 부적절한 대처로 인한 손해가 발생하고 있음. 또한 프로젝트 팀에서 본사의 질책이 두려워 문제를 은폐함으로써 프로젝트 종료시점에 문제가 발생함으로써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가 생김.

2. 사업수행계획서 수립 이후 QA 활동의 사전 리스크 관리 미비

    ==> 일정/비용이 사업 수행계획서와 진행중의 괴리가 발생할  경우 사전에 인지하고 대처하여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문제가 많으나, 이를 수행하거나 관리하는 체계가 부족함.

 

위 두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 기회로 프로젝트 모니터링/통제/보고 프로세스를 수립하고 정착시킴으로써 중대형 프로젝트 손익구조 및 수행 역량을 강화하는데 초점을 맞추기로 하였다.  

 

마무리

CMMI에 대한 대략적인 정의와 PI 활동에서 발생된 다양한 개선방안을 한번에 적용하는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다. 

PI 활동을 통하여 부족한 부분을 찾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다면, 중요도에 따른 우선순위를 정하여 순차적으로 적용해야 할 것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